어디 상담원분들 끼고하는건 불안해서 직접 찾아보고 한 방법을 공유해드립니다. 음슴체 주의.
1. 신규 가입자
1-1. 기준 정하기
일단 신규가입을 할지 재약정을 할지 정하자.
(도서산간지방에 kt만 있는 경우, 재약정시 큰 이득이 없을 가능성이 높음.)
재약정을 하더라도 본인만의 기준을 정하고 (인터넷속도, 채널개수 등등)
일단 모든회사의 신규가입 혜택을 찾아보는게 좋다.
필자는 100-500m급 인터넷 / 티비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 찾아봤음.
1-2. 회사 찾아보기
인터넷+티비를 서비스하는 유플러스, kt, sk브로드밴드, lg헬로비전, 스카이라이프 등등..
일단 각 회사의 사이트에 들어가 설치가 가능한곳인지 알아보자.
내가 서식하는곳은 헬로비전빼고는 다 설치가 가능했다.
3사보단 헬로비전이나 스카이라이프 쪽이싸고 최종적으로는 헬로비전이 가장 싸기때문에 굉장히 아쉬웠다.
1-3. 조건 비교해보기
인터넷 속도, 티비 채널 구성, 셋톱같은 기기 임대비, 설치비.
지출을 정리하고 어드밴티지를 확인해보자.
찾아볼때는 일단 이벤트 페이지를 먼저 훑어보고 와야함.
업로드 다운로드 대칭인지 비대칭인지?
임대비,설치비 면제인지? 아니면 얼마나 드는지?
사은품 유무 상품권으로 주는지? 현물로 주는지? 요금할인으로 주는지?
제휴카드 얼마를 쓰면 얼마를 지원해주는지? 해당카드는 공과금이나 관리비를 제외하나? 할인 기간은?
(부지런한 사람은 네이버페이나 토스같은 어플에 있는 카드발급혜택으로 대체하는게 더 할인률이 높다)
회선결합 어떤 통신사로, 어떤요금제로 결합이 되는지? 결합하면 얼마나 할인해주는지?
본인이 할수있는 한도에서 가격을 비교해보고 정보가 없다면 해당 회사에 전화해보자.
ex) 인터넷 신규가입하려고 전화했는데~ 이거이거 할껀데 임대비?설치비?사은품?결합?
sk브로드밴드는 월 2만원선이었으나 카드혜택이 굉장히 부실하여 포기함.
사실 토스 신규 카드발급 혜택이 있다는걸 까먹었다. 3년후를 기약해야지..
인터넷 미가입자는 이렇게 찾아보고 가입을 하면 된다.
2. 기존 가입자의 해지방어
위의 절차를 그대로 따른다. 알아야지 써먹을 수 있으니까.
필자는 스카이라이프와 기존에 쓰던 유플러스중에 고민했지만 사실은 유플러스를 계속 쓰는게 낫지않을까 생각 했음.
유플러스계열이 카드할인도 더 좋고 lg향 알뜰폰도 결합이 되기 때문 (리브모바일)
궁금한점도 있고 해서 유플러스 상담원한테 전화를 걸었다.
나: 이제 약정 끝나가는데 3년 재약정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상담원: 님은 원래 28400원 나왔는데 임대비 2200원 빼고 사은품 16만원까지 줄수있어용 ㅎㅎ
나: 그게 끝인가요?
상담원: 네! 그게 최대에요! 해지예약 해드릴까요?
(이런식으로 블러핑하는거같음, 다른 대안이 있으면 예약하는게 더 좋을듯.)
나: 괜찮구요, 일단 알겠습니다.
그러고 전화를 끊음. 계산을 해보니 상단표의 재약정1이 나왔다.
스카이라이프랑 신규가입이랑 큰 차이가 나지않았음.
귀찮은게 질색인 사람이라면 여기서 수락해도 무방하다.
조금 있다가 "해지부서"에 전화를 걸었다.
나: 아까 전화했었는데 재약정시 혜택을 다시 알려달라. (상담기록이 있음)
상담원: (아까랑 똑같은 말을 함)
나: 다른곳들은 신규가입해도 월요금 2만원 초반대로 나오는데.. 2.62면 비싼거아님? 진짜 혜택 더 없어요?
상담원: 그곳은 3사보다는 원래 싼곳이고 ~~~~ 해서 사은품 23만원까지 해드릴 수 있습니다.
나: ㅇㅋ
끊고 계산해보니 상단표의 재약정2의 금액이 나왔음.
안 귀찮은 사람들은 해지부서에 연락해 한번 더 딜 해보길 바란다. 6만원의 행복^^
결론 - 월 요금에 사은품받은 금액을 빼서 평균을 내보면 어디서 가입하나 비슷비슷하다..(?)